부산자원순환협력센터

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연구보고서

  • HOME
  • 발간 자료
  • 연구보고서
작성자 게시일 조회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『BCDC ISSUE PAPER(감염병 범유행 감시를 위한 과제)』 발간 [ISBN 979-11-990261-4-8 (online)]의 상세페이지입니다.

『BCDC ISSUE PAPER(감염병 범유행 감시를 위한 과제)』 발간 [ISBN 979-11-990261-4-8 (online)]

작성자 : 관리자 게시일 : 2025-09-30

조회수
27

첨부파일 : 첨부파일BCDC ISSUE PAPER(감염병 범유행 감시를 위한 과제).gif  (다운로드 횟수 : 2) 첨부파일BCDC ISSUE PAPER(감염병 범유행 감시를 위한 과제).pdf  (다운로드 횟수 : 2)

BCDC ISSUE PAPER 2025-01
기록되지 않은 직업, 발견되지 못한 위험
감염병 범유행 감시를 위한 과제
글쓴이: 김진환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, 문다슬 부산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, 김창훈 부산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

요약
- 부산의 선박, 서울의 콜센터 사례가 보여주듯이 효과적인 지역 감염병 관리를 위해서는 감염 전파 위험을 결정하는 맥락으로 직업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감염병 감시와 관리를 위한 직업조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2020년 2월부터 2023년 8월 사이 부산시에 신고된 코로나19 확진자의 직업기록 현황을 살폈다.
- 2021년 12월까지 신고된 사람들의 직업은 대부분 기록되어 있었지만, 2022년 1월부터는 '학생'을 제외하면 직업이 제대로 기록되어 있지 않았다.
- 2021년까지의 자료 역시 직업이 아닌 직장명이나 산업 분류에 따라 기재된 경우가 많아, 한국표준직업분류 등의 기준에 따른 표준화가 어려웠다.
-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, 감염병 감시를 위한 직업 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.
- 직업 정보의 부족은 감염 경로 파악을 어렵게 만들고, 위험도가 높은 사람들을 파악하기 어렵게 하며, 그 결과 지역사회 감염병 대응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.
- 미래의 감염병 유행에 대비하여 표준화된 직업 정보 조사 체계, 검색 기반의 폐쇄형 입력 기능, 직업정보 질평가 체계를 마련해 직업조사의 품질을 제고해야 한다.

이 글의 내용은 부산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. 사진0